본문 바로가기

Linux/system programming

버추얼박스에서 윈도우와 네트워크 연결

 

아까 ? 설치한 리눅스서버는 

 

윈도우내에 설치한 것으로 보이지만  

 

버추얼박스로 설치를 했다는 것은 가상머신 하드웨어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로 

 

우분투서버를 설치 한것 이다.

 

 

윈도우에 랜카드가 설치되어 있고, 리눅스에서도 랜카드가 있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고 볼수 있따.

 

우분투 서버에서 ifconfig를 하면

 

 

현재 이더넷 포트 eth0는 10.0.2.15 주소이고  이것은 별 의미 없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윈도우와  우분투간의 연결은 없다고 볼수 있다.

 

리눅스에 랜카드를 추가하고, 위도우와의 연결을 만들어  윈도우에서 우분투 서버로 접속하여 코딩을 하거나

파일을 이동등 여러가지 작업을 진행할수 있게

 

포트를 추가해야 한다. 

 

포트추가는 아래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를 시켜하 한다. 

 

이 작업은 시스템이 종료된 다음 가능하며

 

종료 방법은  2021.03.10 - [분류 전체보기] - 버추얼박스에서 우분투서버 끄기

 

버추얼박스에서 우분투서버 끄기

명령어 halt를 하면 버추얼머신상의 우분투서버를 셧다운 할수 있다. 아래처럼 나오면 x버튼을 눌러서 종료 가능함. 그러면 가상머신 닫기 창에서 시스템전원 끄기를 선택하면, 실물 컴퓨터를 끄

michae.tistory.com

를 참조하면 된다.

 

 

 

 

 

네트워크를 추가를 해도 다시 ifconfig를 하게 되면 아직 활성화가 안된것을 볼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 시켜야하는데  이것은 

 

 

로 vi 편집기에서 

 

포트를 추가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ifconfig를 해도 추가가 안됨

 

리붓을 해야 추가가 된다. 

 

그러면 짠! 하고 포트하나가 추가된다. 

192.168.56.101

 

그리고 윈도우에서도 한번 확인을 해보면

cmd  -> ipconfig를 하면 

192.168.56.1 을 확인 할수 있다.

여기서 ping으로 네트워크를 확인하면 

 통신이 정상적으로 되는걸 볼수 있다.

 

반대의 상황은 안될수가 있는데 

 

방화벽을 끄면 가능하다.